본문 바로가기
Major Review (학부)/Linux OS

02. 리눅스 이해(1)

by 삼준 2023. 10. 25.
반응형

* 사용자 계정 관련 파일

- /etc/passwd 파일

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.

형식 < 로그인 ID : x : UID : GID : 설명 : 홈 디렉토리 : 로그인 셸 >

로그인 ID: 사용자 계정의 이름

x : 초기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암호를 저장하던 항목 (현재는 /etc/shadow에 암호 저장)

UID : 사용자ID 번호로 시스템이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

   + 일반적으로 0~999번과 65534번은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UID로 예약

   + 일반 사용자는 UID 1000번부터할당(root 계정은0번)

GID : 그룹ID를 나타낸다. 리눅스에서 사용자는 무조건 한 개 이상의 그룹에 소속

설명 : 사용자의 실명이나 부서명, 연락처 등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기록

홈 디렉터리 :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홈 디렉터리의 절대경로

로그인 셸 :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지정

 

- /etc/shadow 파일

사용자 암호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함.

root 사용자만 읽고 쓸 수 있으며 shadow 그룹은 읽기만 가능함.

형식 < 로그인 ID : 암호(패스워드) : 최종 변경일 : MIN : MAX : WARNING : INACTIVE : EXPIRE : Flag >

로그인ID : 사용자 계정의 이름

암호(패스워드) : 실제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

최종변경일 : 암호가 마지막으로 변경된 날짜 (1970년1월1일을기준으로 날 수를 지정)

MIN : 암호를 변경한 후 사용해야 하는 최소 기간

MAX : 암호를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기간

WARNING : 암호가 만료되기 전에 경고를 시작하는 날 수

INACTIVE : 암호가 만료된 후에도 이 항목에 지정한 날 수 동안은 로그인이 가능

EXPIRE : 사용자 계정이 만료되는 날짜 (197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한 날 수로 표시)

Flag : 향후 사용할 목적으로 비워둔 항목

 

- /etc/login.defs 파일

사용자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값을 정의함.

 

- /etc/group 파일

그룹의 정보가 저장됨.

사용자가 속한 그룹 중 etc/passwd 파일의 GID 항목에 지정된 그룹이 기본 그룹이며, 사용자가 속한 2차 그룹은 /etc/group 파일에 저장됨.

형식 < 그룹 이름 : x : GID : 그룹 멤버 >

그룹 이름 : 그룹의 이름

x : 그룹의 암호를 저장 (그룹 암호는 newgrp 명령으로 자신이 속하지 않은 그룹으로 전환할 때 필요함)

GID : 그룹을 식별하는 번호

그룹 멤버 : 그룹에 속한 멤버들의 사용자 계정이름 (쉼표(,)로 구분하여 사용자 계정을 등록함)

 

- /etc/gshadow 파일

그룹 암호가 저장됨.

형식 < 그룹 이름 : 그룹 암호 : 관리자 : 그룹 멤버 >

그룹 이름 : 그룹의 이름

그룹 암호 : 암호화 된 그룹 암호

관리자 : 그룹의 암호나 멤버를 바꿀 수 있는 사용자 계정으로 여러개일 경우 쉼표로 구분함

그룹 멤버 : 그룹에 속한 멤버들의 사용자 계정 이름이며, 쉼표로 사용자를 구분함

 

* 사용자 계정 관련 명령어

useradd [옵션] [로그인 ID]

사용자 계정을 생성함. 옵션 없이 사용하면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지 않고 기본 쉘은 본 쉘로 지정됨. passwd 명령어로 암호도 만들어야 로그인이 가능함.

ㄴ 옵션 : -u (UID 지정), -D (기본값 확인)

 

adduser [옵션] 로그인 ID

사용자 계정을 생성함. 생성 과정에 암호 입력이 있어서 passwd 명령어가 필요없음.

 

※ /etc/skel 디렉토리에 파일을 넣어두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때 홈 디렉토리에 자동으로 복사됨. 홈 디렉토리에 공통으로 배포해야 할 파일을 지정 가능함.

 

usermod [옵션] [로그인 ID]

사용자 계정 정보를 수정함.

ㄴ 옵션 : -u (UID 수정), -g (기본 그룹 수정)

 

userdel [옵션] [로그인 ID]

사용자 계정을 삭제함.

ㄴ 옵션 : -r (홈 디렉토리까지 삭제), -f (사용자가 로그인 중이어도 강제로 삭제)

 

groupadd [옵션] [그룹명]

그룹 생성.

ㄴ 옵션 : -g (그룹 GID 지정), -o (GID 중복 허용)

 

groupmod [옵션] [그룹명]

그룹 정보 수정.

ㄴ 옵션 : -g (그룹 GID 수정), -o (GID 중복 허용), -n (그룹 이름 변경)

 

groupdel [그룹명]

그룹 삭제.

 

newgrp [그룹명]

작업할 때 현재 소속 그룹을 기본 그룹 외의 그룹으로 변경. 소속 그룹이 아닌 그룹으로 변경시 암호 필요.

 

who [옵션]

현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.

ㄴ 옵션 : -q (사용자수와 계정 이름만 출력), -m (사용자 계정의 정보 출력), -b (마지막 재부팅 날짜 시간 출력), -H (출력 항목의 제목도 출력(열 이름))

 

w [사용자명]

현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와 작업 정보를 출력.

 

last

시스템에 로그인, 로그아웃한 정보 출력

 

※ UID 와 EUID

UID : 실제 UID,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한 계정의 ID

EUID : 유효 사용자 ID, 현재 명령을 수행하는 주체의 UID를 의미함.

ex) user1에서 로그인한 후 su 명령어를 통해 user2로 바꾸었다면, UID는 그대로이고, EUID만 바뀜.

 

who am i (= who -m)

UID 출력

 

whoami (= id)

EUID 출력

 

- root 권한 사용방법

1. su 명령어로 root 계정으로 전환.

2. 명령어 앞에 sudo 붙이기.

 

- sudo 권한 사용방법

/etc/sudoers 파일에 설정하면 됨.

ex) user1 ALL=NOPASSWD ALL 사용시 모든 명령 권한 가짐.

 

passwd [옵션] [사용자계정]

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수정함.

ㄴ 옵션 : -l (지정한 계정의 암호를 잠금), -u (암호 잠금을 해제함), -d (지정한 계정의 암호를 삭제함)

 

chown [옵션] [사용자계정] [파일(디렉토리)명]

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변경함.

ㄴ 옵션 : -R (서브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도 변경함)

반응형

'Major Review (학부) > Linux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3. 리눅스 활용  (1) 2023.10.25
02. 리눅스 이해(2)  (0) 2023.10.25
01. 리눅스 기초  (1) 2023.10.25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