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권한2

03. 리눅스 활용 * 파일 관리 - 파일 속성 ls -l 로 확인 가능함. - 접근 권한 파일의 권한에는 읽기(Read), 쓰기(Write), 실행(eXecute) 총 세 종류가 있음. 사용자를 소유자(User), 그룹(Group), 기타 사용자(Others)로 나누어 각 사용자별로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 따로 부여함. 표기는 소유자, 그룹, 기타 사용자 순서로 부여된 권한을 소문자로 표시하며, 해당 권한이 없으면 -로 표시함. ex) rw-r--r-- :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가능, 그룹과 기타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. ㄴ 권한 숫자 표기법 rwx를 2진수 비트로 치환하면 총 3비트 크기의 2진수가 되고, 이것을 다시 1비트짜리 8진수로 바꾸면 한 글자만으로 권한들을 표현할 수 있음. ex) rwxrwxrwx = 11.. 2023. 10. 25.
02. 리눅스 이해(1) * 사용자 계정 관련 파일 - /etc/passwd 파일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. 형식 ┌ 로그인 ID: 사용자 계정의 이름 x : 초기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암호를 저장하던 항목 (현재는 /etc/shadow에 암호 저장) UID : 사용자ID 번호로 시스템이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 + 일반적으로 0~999번과 65534번은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UID로 예약 + 일반 사용자는 UID 1000번부터할당(root 계정은0번) GID : 그룹ID를 나타낸다. 리눅스에서 사용자는 무조건 한 개 이상의 그룹에 소속 설명 : 사용자의 실명이나 부서명, 연락처 등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기록.. 2023. 10. 25.